절약하는 공공정보

핸드폰 필수설정! 긴급전화 & 나의 의료정보

northpole1019 2023. 5. 9. 01:25
반응형

매일 쓰는 핸드폰에 꼭! 반드시 설정해 두면 위급상황에 큰 도움되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긴급전화 설정"과  "의료정보 입력" 해두기 입니다. 내가 의식이 없거나 다급한 상황일때, 119뿐만 아니라 나의 가족에게도 연락을 해주기 위해 꼭 필요한 설정이에요. 시 아직 설정하지 않으셨다면 아래 화면을 따라 꼭 ~ 설정하시길 권합니다. 아주 간단한 과정입니다.

 

아래 저의 갤러시 폰으로 진행해 본 간단한 절차 남겨드립니다.

 

긴급전화 의료정보 핸드폰 간단설정 방법 

 

먼저 긴급전화번호 등록 방법입니다.

 

1. 아래처럼 핸드폰 메인화면에서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버튼을 클릭합니다.

 

핸드폰 설정들어가기
핸드폰 설정 들어가기

 

 

 

2. [설정]에 들어갔다면 화면 아래로 내려서 [안전 및 긴급]을 클릭합니다.

 

 

안전 및 긴급 클릭하기
안전 및 긴급 클릭하기

 

반응형

 

3. 두번째 항목인 [긴급 연락처]를 클릭해 주세요.

 

긴급 연락처 선택
긴급 연락처 선택

 

 

 

4. [+그룹원 추가]를 눌러서 위급시 전화할 긴급전화번호를 등록해 줍니다.

 

그룹원 추가 클릭
그룹원 추가 클릭

 

 

 

5. 긴급 연락처 선택이 되었다면 화면하단에 [잠금화면에 표시]를 활성화시켜 줍니다.

 

설정된 긴급연락번호 확인
설정된 긴급연락번호 확인

 

 

 

<확인하기>

 

6. 이제 잠금화면으로 나가서 [긴급전화]를 누루고 아래 초록색 버튼을 클릭해 들어가면

내가 설정한 긴급 연락처가 화면에 보여집니다.

 

설정된 정보 확인
설정된 정보 확인

 

 

 

7. 112나 119와 같은 번호 이외에 직접 선택한 긴급연락처가 보입니다.

 

등록된 긴급연락처 확인
등록된 긴급연락처 확인

 

 

 

평소 핸드폰에 잠금을 설정했어도 위급할 때 긴급통화는 당연히 되는 거니까 별다른 문제의식 자체가 없었어요. 그런데 이 긴급전화는 112나 119처럼 공공의 통화가 되는 거라서 가족에게 연락을 하기 위해서는 확인하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을 거예요. 이걸 미리 지체 없이 바로 연락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해 두는 건 너무나 중요한 일일 것 같습니다. 

 


이번엔 의료정보를 등록해 보겠습니다.

 

 

1. 긴급전화와 동일하게 [설정 > 안전 및 긴급]을 클릭한 다음 화면 맨 위 [의료정보]를 클릭합니다.

 

의료정보 등록하기
의료정보 등록하기

 

 

 

2. [의료정보] 란에 본인의 이름과 건강상태, 알레르기 여부, 복용 중인, 약 등의 필요 정보를 간략히 입력합니다.

 

내정보 입력
내정보 입력

 

 

 

3. 입력을 마쳤다면 다시 잠금화면에서 하단 초록버튼을 클릭하고 입력된 정보를 확인하면 등록완료입니다.

 

입력된 의료정보 확인하기
입력된 의료정보 확인하기

 

 

 

가령 당뇨약이나 혈압약을 복용 중이라거나 특정한 약물을 복용중이라거나 예민한 알레르기 정보와 같은 내용을 구급대원이나 위급시 도움 주는 사람이 바로 알 수 있다면 정말 큰 도움이 될 겁니다. 그 말인즉 혹시 생사의 기로에 있을 때 생사를 가름할 수도 있다는 말이겠지요. 부모님 핸드폰에도 설정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의료나 구급에 전문성은 없지만, 정보를 알게 된 순간 이건 무조건 다 해야 된다 싶었어요. 저도 설정하고 가족들도 모두 설정 완료입니다. 

 

오늘도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긴급전화 의료정보 입력하기 썸네일

 

 

 

2023.04.27 - [절약하는 공공정보] -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추가모집 여행경비 20만원 지원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추가모집 여행경비 20만원 지원

여행경비 20만 원 지원받을 수 있는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알고 계신가요? 곧 5월인데, 가족의 달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나들이나 여행도 늘고 가족 간의 모임도 많아지는 계절이죠. 저도 슬슬 부

tenthousandperday.tistory.com

 

 

2023.05.03 - [절약하는 공공정보] - 타지역 종량제 봉투 이사해도 버리지 마세요

 

타지역 종량제 봉투 이사해도 버리지 마세요

며칠 전에 tv정보프로그램에서 타 지역 종량제 봉투 사용에 관한 내용을 봤습니다. 무슨 말인가 싶어서 잠깐 봤는데, 깜짝 놀랐네요. 사실 이 포스팅은 작성하기도 부끄러울 정도입니다. '혹시

tenthousandperda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