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화폐 5월 인센티브 지급일정과 한도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경기지역화폐는 경기도가 지역경제의 선순환을 위해서 경기도 31개 시. 군에서 발행하고, 지역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대안화폐입니다. 이 경기지역화폐는 코로나가 막 시작되던 2019년 4월에 경기도 전역으로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는데 아마 코로나로 인한 소비위축으로 소상공인과 전통시장등의 매출감소도 한 원인이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경기지역화폐를 안 써보신 분은 거의 없으실 거에요. 시행초기에 재난지원금과 더불어서 홍보도 많이 되었고, 무엇보다 충전 금액의 10%까지 인센티브를 주었기 때문에 너무나 매력적이었습니다. 인센티브 금액은 거주 시. 군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었습니다.
저도 초창기에는 매달 50만 원씩 충전해서 열심히 썼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러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자연스럽게 사용이 뜸해진 것 같아요. 어쩌면 코로나가 마무리되어 가면서 이 제도가 종료되었다고 지레짐작 생각했던 것 같기도 합니다.
짠테크를 하면서 생활비 절약을 위해서 이리저리 궁리 끝에 이 지역화폐카드가 다시 생각이 났어요. 찾아보니 여전히 각 시군에서 매달 인센티브를 주면서 꾸준히 시행 중이었던 거죠. 이런... 제가 정보가 게을렀습니다. 역시 아직은 갈길이 먼 초보 절약러 입니다.
'인센티브'라는 표현은
우리가 카드로 충전한 금액에 각 시. 군에서 일정 퍼센트를 지자체 예산상황에 따라 추가로 주는 금액을 인센티브라고 표현하고 있어요. 찾아보니 각 지자체별로 적게는 12,000원부터 100,000원까지 주는 곳도 있네요.
아래표를 예로 보면 제일 상단 가평군은 인센티브가 10%이고 월 포인트 지급 한도가 5만 원입니다. 그러면 우리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금액의 최고는 5만 원이라는 얘기니까 가평군은 최대 500,000원을 충전하면 됩니다. 10만 원 5만 원을 충전해도 됩니다. 5만 원만 충전해도 5천 원의 할인을 받는 거니까요.
각 지자체별 세부 5월 인센티브 금액
은 [경기지역화폐] 홈페이지에 공지된 표를 첨부해 드리니 참고해 주세요 ▼
혹시 그간 지역화폐카드를 분실했거나 아직 없다면 홈페이지나 핸드폰 앱에서 카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위에 시군별 인센티브 금액에 따라서 매달 충전만으로도 할인을 받는 셈이니 놓치지 마시고 꼭 절약에 활용해 보세요. 저도 다시 사용할 예정입니다.
경기지역화폐 카드는 신청하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1.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서 회원가입하고 신청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https://www.gmoney.or.kr/base/main/view
2. 핸드폰이 편하다면 핸드폰 play스토어에서 [경기지역화폐]를 검색한 후 앱을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gov.gyeonggi.ggcard
회원가입하고 신청절차를 마치면 며칠 안에 우편으로 카드가 배송되어 옵니다.
카드를 받고 나면 지역화폐 앱에 들어가서 원하는 금액을 충전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앱을 열었을 때 첫 화면에서 가운데 [충전]을 누른 후 원하는 금액을 입력하면 바로 충전이 되므로 사용은 아주 간편합니다. 본인의 계좌잔고에서 금액을 가져다 충전하는 방식이므로 충전하기 전에 사용할 계좌를 입력하고 잔액을 넣어두면 됩니다.
경기지역화폐의 형식은 모두 다 카드의 형식은 아닙니다.
지자체에 따라 카드로 사용하는 지역이 있고, 모바일에 바코드나 QR코드를 사용하는 지역도 있습니다. 또 기존의 종이 상품권처럼 종이로 된 상품권을 구매해서 사용하는 지역도 있습니다. 지류로 된 지역화폐 상품권은 농협에서 구매가 가능합니다.
각 시군의 정책에 따라 지역화폐의 형식을 다를 수 있으니 해당지역의 상황별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받은 지역화폐는 지역의 연매출 10억 이하의 소상공인 점포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저는 주로 식비사용 용도로 충전해서 쓰는 편이니 동네에 마트에서는 다 사용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고요. 카페나 생활용품 구입 외식할 때도 대부분 사용이 됩니다.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이나 프랜차이즈 직영점 같은 곳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생활권에서 사용된다고 보시면 돼요.
또 내가 꼭 거주하고 있는 곳의 지역화폐만 사용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가령 거주하고 있는 곳은 아니지만 직장 생활하는 곳에서 주로 사용을 원한다면 직장이 있는 지역의 지역화폐를 신청해서 사용할 수 있으니 두루 활용이 가능합니다.
저처럼 지역화폐카드 한동안 잊고 지내셨다면 다시 꺼내서 꼭 사용해 보시자고요. 지자체에서 주는 혜택인데 놓치면 아깝잖아요. 5월 한 달도 알차게 짠테크 하시는 모든 분들 응원합니다~! 우리 같이 이 힘든 시기를 잘 ~ 견뎌내 보아요!!
▼또 다른 절약하는 공공정보
2023.04.27 - [절약하는 공공정보] -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추가모집 여행경비 20만원 지원
2023.04.20 - [오늘의 만원] - 우회전 일시정지 지키고 있나요? 범칙금 및 벌점 알아보기
'절약하는 공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에서 할인받기 (0) | 2023.06.13 |
---|---|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접수시작 (0) | 2023.05.19 |
핸드폰 필수설정! 긴급전화 & 나의 의료정보 (1) | 2023.05.09 |
타지역 종량제 봉투 이사해도 버리지 마세요 (0) | 2023.05.03 |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추가모집 여행경비 20만원 지원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