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학교 어때

고교학점제 설명회 다녀온 후기

northpole1019 2023. 6. 11. 02:33
반응형

2025학년도 고1 아이들부터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현 중2부터 적용) 됩니다.

궁금한 것도 많고, 정보가 없어서 불안했는데 가까운 곳에서 고교학점에 설명회가 있어서 다녀왔습니다. 
 

 
 
 아래 사진은 지난주에 화성시 모두누림센터에서 있었던 설명회 사진입니다.
 

박요섭 교수 강의로 진행된 고교학점제 설명회(주관 교육공감)

 
 고교학점제는

학점제 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 아이들이 본인 적성과 관심에 따라 과목을 정해서 수업을 듣고, 기준학점인 192학점을 이수하면 졸업을 하는 제도입니다.
대학의 시스템과 같아 보이고요.
드라마나 영화에서 보던 외국 고등학생들의 모습도 떠올려집니다.
 
 
강의 내용은 제가 100퍼센트 완벽한 기억이 아닐 수 있고, 놓친 부분이 있을 수 있어서 아래 내용은 제공받은 자료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고교학점제에서 아이들이 이수해야 될 기준학점은 192점입니다. 
학기당 32학점입니다.
이 점수를 조기이수 한다고 해서 조기졸업을 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3년 기간 동안 이수하지 못할 경우에는 졸업하지 못하는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만약 학교에 개설되지 않은 과목이 있다면, 공동교육과정 교육을 통해 진행한다고 합니다.
공동교육과정은 학교에 개설되지 않은 과목을 

  1. 우리 학교에서 배우기
  2. 타학교에서 배우기
  3. 온라인에서 배우기
  4. 지역교육관에서 배우기 

등의 방식으로 진행하는 교육방식입니다.


자료 안의 다른 내용들은 기본적이고 피상적인 내용들이라서 생략합니다.
 
이날 강의에서 여러 교육에 대한 좋은 철학들 그리고 학부모들에게 도움 되는 자녀교육에 대한 성찰들을 전달해 주셨지만 글로 남기기에는 어려움이 있고요. 무엇보다 제가 궁금했던 제도적인 궁금증은 사실 다 풀리진 못했습니다. 앞으로 열심히 차근차근 정보를 모으고 공부를 해야 할 것 같아요.
 
유난한 학부형은 아닌 것 같지만, 적어도 아이가 고등학교에 가면서 던져질 낯선 환경에 대해서 만큼은 부모로서 하나의 정보라도 더 미리 알고 싶은 심정입니다.
 

 

반응형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우선 아이들이 배우게 되는 과목에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기존의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과 같은 기본 교과 외에 엄청나게 많은 과목들이 신설됩니다. 이름도 생소한 그야말로 4차 산업 시대에 맞는 과목들이 신설되는 것이지요.
 
그러나 문제는 위에 자료에도 있듯이 현재 우리 학교들의 현실입니다.

  • 과연 그 많은 과목들을 학교에서 다 배울 수 있을까?
  • 학교에서 배울수 있다면 충분한 공간이 준비되고 있을까?
  • 새로운 시대에 맞춘 신설 과목들을 교육해 줄 교수진이 준비된 것일까?

 
제가 이날 갖게 된 큰 물음표는 위의 저 세 가지 질문이었습니다. 자료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서 공동교육과정이라는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아침에 등교해서 한 시간 수업하고, 학교에 없는 실기수업 들으러 외부에 나갔다가 다시 학교로 복귀에서 나머지 수업을 듣는 이러한 시스템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지... 너무 이상만 가득한 것은 아닌지.. 
 
결국 이러다가 제도만 시행되고 대부분 온라인 줌 수업을 통해서 때우기식으로 진해되는 것은 아닐지.
우려가 앞서는 현실입니다.
 
제가 걱정이 많은 것일지도 모릅니다. 교육부에서 어떤 준비가 얼마나 진행되고 있는지. 며칠 후 있을 교육지원청 주관 학부모 연수에서 답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좋은 강연이었고, 준비해 주신 교육공감 단체에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다만 저는 보다 많은 물음표를 받아 들고 온 기분입니다.  앞으로 더 있을 설명회에 열심히 참여한 후 추가 포스팅 남겨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05.26 - [요즘학교] - 학교급식 모니터링단 위촉식에 다녀왔습니다

 

학교급식 모니터링단 위촉식에 다녀왔습니다

오늘 급식모니터링단 위촉식이 있었습니다. 위촉장까지 주는 그런 거창한 활동인 줄은 사실 모르고 신청했었는데 나름 막중한 활동을 부여받은 것 같아 뭔가 기분 좋은 설렘이 있습니다. 오늘

tenthousandperday.tistory.com

 
 
 
 

반응형